GFRP 보강근은 국내 약 11조원의 철근 시장을 점진적으로 대체할 것.
단기적 관점에서 보수적으로 10% GFRP 침투율 가정 시 약 1.1조원 규모의 시장이 존재할 것으로 전망
<글로벌 철근 시장 규모>
• 2022년 325조원 → 2030년
460조원 연평균 4.4% 성장 전망
• 특히, 개발도상국에서의 건설 산업 성장.
급속한 산업화 및 인프라 개발 촉진은 상기 기간 동안의 철근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

<국내 철근 시장 규모>
“국내 약 11조원 시장”
철근 수요량
• 국내 철근 수요는 2021년 1,118만톤 (약 11조원)
• 평균 연 1,100만톤 수요
• 공공 및 민자 SOC 확충으로 수요 증가 (2023년 이후)
• 정부 주택 공급 증가 (2022~2027년)
수요자 유형
• 연간 공공 및 민간 건설 약 140조원 (철근 약 11조원 규모 수요)
• 공사비중 (공공35% / 민간 65%)
• 철근 수요
- 토목 수요(공공, SOC): 약 3조 9천억원
- 건축 수요(민간, 아파트): 약 7조 1천억원
향후 전망
• 2023년 이후 약 20% 증가 예상
• SOC(공공, 민간) 사업 증가
- 광역철도 GTX-A,B,C, 남부내륙철도 / 가덕도 신공항 등
- 주택 공급(공공, 민간) 증가
• 제 3 신도시 및 재건축 등 향후 5년간 270만호 공급
국내 11조원 철근 시장 중
GFRP 10% 침투
= 1.1조원 시장
GFRP 보강근 사업 추진의 적시
그동안 우리나라는 GFRP에 대한 가이드라인 부재로 시장 확대에 제약 존재했으나,
’24년 말 국토부의 GFRP 보강근 건축 설계 기준 제정을 기점으로 사업 동력 확보

2024년 12월 30일 국토부 GFRP 보강근
건축 설계기준이 제정되었으며,
예측 대비 2년 빠르게 제정된 점은
시장에서도 GFRP 보강근 니즈를
식별하고 있다는 방증함.
GFRP 보강근과 ESG 경영 트렌드
또한, GFRP 보강근은 최근 화두가 되는 ESG 경영 기조와 맞물려 폭발적 수요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저탄소 친환경 소재로의 GFRP 보강근

철근 대비 CO2 배출량 43% 감소,
에너지 소비 50% 저감
→ 국가 탄소감축 정책에 부합
=> GFRP 보강근은 ESG 경영의 변곡점으로 작용할 것
국내 주요 기관 GFRP 보강근에 대한 인허가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건설산업의 계획
(한국콘크리트학회, Korea Concrete Institute)
국가철도공단 ESG 경영 실천 일환으로 GFRP 보강근 사용 정책 수립
